[3의법칙 ]
나, 그리고 나와 뜻이 같은 두사람이 모이면 상황을 바꾸는 힘이 생긴다.
https://youtu.be/DX5hqmiEosU
[가연성과 인화성 및 독성, 可燃性和易燃性和毒性, 可燃性と毒性]
가연성(可燃性): 불꽃을 내며 불에 잘 타는 물질의 성질
예: 나무, 섬유, 플라스틱,기름 등
1.1 가연성 가스: 공기중에 연소하는 gas로서 폭발한계의 하한이 10% 이하인 것과 폭발한계의 상한과...
[PVC 및 SAP 분진 화재, 폭발 위험성평가]
첨부 PVC 및 SAP 분진 화재, 폭발 위험성평가
분진의 위험 특성에 대한 분석을 퇴적분진(Dust layers)과 부유분진(Dust clouds)으로 구분하여 평가를 실시하였다. 열분석 시험 결과, Air 환경하에...
화염방지기의 설치해야 하는 인화점 기준 2가지
화염방지기(Flame Arrester)는 가연성 가스나 인화성액체를 저장, 운송, 취급하는 화학설비에서 증기나 가스를 공기 중으로 방출되는 경우 외부로 부터 화재 발생 시 화염이 화학설비 내부로 들어오지...
[FK-5-1-12, Novec 1230-Advanced clean agent fire protection]
화재는 언제 어디서든 일어 날 수 있습니다.
화재는 언제든지 일어 날 수 있기 때문에 세계의 수천의 화재전문가들이 3M™ Novec™ 1230 Fire Protection Fluid를 컴퓨터 방이나,...
위험물 적재차량 운전자 교육
위험물 적재차량 운전자 교육 (선박안전법)
위험물 적재차량 운전자의 경우에는 타법에서 정하는 운반자 교육을 이수하는 경우에 위험물 젖재차량 운전자 교육을 면제하고 있으나 그 세부 내용을 명화하게...
[가스시설의 폭발위험장소 종류 구분 및 범위 산정에 관한 기준]
가스시설의 폭발위험장소 종류 구분 및 범위 산정에
관한 기준
Classification Code for Explosive Hazardous Area on Gas Facility
종목코드번호 KGS GC101 2018
코 드 명
가스시설의 폭발위험장소 종류 구분...
[위험물질의 종류]
산업안전보건기준에관한 규칙
위험물질의 종류는 산업안전보건법, 위험물안전관리법에서 세부 구분을 정의하고 있음.
폭발성 물질 및 유기과산화물
가. 질산에스테르류
나. 니트로화합물
다. 니트로소화합물
라. 아조화합물
마. 디아조화합물
바. 하이드라진 유도체
사. 유기과산화물
아. 그 밖에 가목부터...
긴급차단밸브-Emergency shutoff valve
Reference: KOSHA Guide D-11-2012, 화학물질관리법 고시사항 중 기술기준 및 세부기준
유해화학물질, 위험물질, 관리대상물질의 흐름을 차단 하여 비상상황에서 화학물질이 역류되어 피해영향범위가 확대 되지 않도록 하는것은 화학사고예방에...
[U01- 영업허가 ]
가. 제1절 유해화학물질 영업구분 및 영업허가
화관법
제27조(유해화학물질 영업의 구분) 유해화학물질 영업은 다음과 같이 구분한다.
1. 유해화학물질 제조업: 판매할 목적으로 유해화학물질 중 허가물질 및 금지물질을 제외한 나머지 물질을...